책소개
현대사회에서 영화산업은 일상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고, 한 영화를 홍보, 배급, 상영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 또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화의 홍보 및 배급, 상영과정 고찰의 중요성은 영화라는 매체가 기본적으로 ‘영화상품’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1995년의 「영화진흥법」은 우리나라에서의 영화산업을 서비스업이 아닌 제조업으로 분류함으로써 다양한 금융 및 세제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비로소 영화 텍스트가 ‘영화상품’으로, 영화업이 단지 예술활동이나 문화현상이 아닌 ‘예술이자 산업’으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이에 영화상품과 영화산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마케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시간을 가져 볼 필요가 있다. 제1부에서는 영화상품과 영화산업이 지닌 여러 가지 특성과 해외 영화산업의 현황 등을 살펴본다. 이는 영화상품과 영화산업 학습에 있어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제2부에서는 영화마케팅과 MPR, 영화의 흥행요인, 감독 및 배우의 파워, 영화 자체의 완성도, 소재의 독특함과 신선함, 그리고 이슈마케팅과 버즈마케팅 등 영화마케팅의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요소들을 알아본다. 제3부에서는 영화산업과 마케팅의 변화를 OTT와 팬덤을 중심으로 짚어 보고, 디지털 마케팅의 사례들을 살펴본다.
목차
제1부 영화상품과 영화산업
제1장 영화상품이란
1.1 예술로서의 영화 vs 상품으로서의 영화
1.2 부분적 공공재로서의 영화
1.3 정보재로서의 영화
1.4 상품으로서의 영화의 특성
1.5 영화상품·영화산업의 3요소: 생산자, 소비자, 영화상품·텍스트
제2장 영화산업의 특성
2.1 흥행산업으로서의 영화산업
2.2 한국의 영화산업
2.3 제작과 자본
2.4 배급과 상영
2.5 영화시장의 특수성
제3장 서구권의 영화산업
3.1 할리우드 영화산업
3.2 영국과 프랑스의 영화산업
3.3 서구의 영화 지원 제도
제4장 아시아권의 영화산업
4.1 일본의 영화산업
4.2 대만의 영화산업
4.3 중국의 영화산업
4.4 홍콩과 인도의 영화산업
제5장 한국의 영화산업
5.1 한국 영화산업의 간략한 역사
5.2 2000년대 이후 한국 영화산업의 변모된 모습
제2부 영화마케팅
제6장 영화마케팅의 이해
6.1 영화마케팅이란
6.2 영화의 마케팅 툴
6.3 영화와 MPR
6.4 영화마케팅의 특수성
제 7 장 영화의 흥행요인
7.1 영화 흥행요인의 황금비율
7.2 영화의 구조적 요인
7.3 영화의 내적 요인
제 8 장 영화마케팅 요인 분석
8.1 영화 자체의 완성도
8.2 감독·배우의 파워
8.3 소재의 독특성과 신선함
제 9 장 영화마케팅의 종류와 특성
9.1 이슈마케팅
9.2 버즈마케팅
9.3 기타 마케팅: 타이 업 마케팅과 PPL
제10장 영화마케팅 사례 분석
10.1 성공 사례
10.2 실패 사례
제3부 영화산업과 마케팅의 변화
제11장 한국 영화산업의 특징과 변화
11.1 한국 영화산업의 형성과 변화
11.2 한국 영화산업의 현황
11.3 영화 한류의 성장
제12장 OTT와 영화산업의 변화
12.1 OTT의 개념과 현황
12.2 OTT가 바꾸는 영화산업
12.3 OTT 시대의 영화마케팅
제13장 콘텐츠IP와 영화산업
13.1 콘텐츠IP의 개념과 현황
13.2 콘텐츠IP 중심의 영화산업 변화
13.3 콘텐츠IP 시대의 영화마케팅
제14장 팬덤과 영화산업
14.1 영화산업에서 팬덤의 중요성
14.2 영화 팬덤의 역사와 변화
14.3 팬덤 마케팅의 진화
제15장 영화산업과 디지털 마케팅
15.1 디지털 시대 영화마케팅의 변화
15.2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영화마케팅의 확장
15.3 영화 디지털 마케팅의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