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최근 질병의 예방 측면에서 영양학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영양판정의 중요성과 그 활용성은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영양판정은 개인이나 집단을 대상으로 식품 및 영양소 섭취자료, 신체측정 자료, 생화학적 분석자료, 임상적 증상 및 징후 등을 분석하여 영양 및 건강 상태를 진단 및 판정하는 학문으로 궁극적으로는 질병의 예방뿐 아니라 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신체계측법, 생화학적 평가법, 임상적 평가법, 식이섭취평가법의 네 가지 영양판정의 이론을 충실히 설명하였으며, 이론과 더불어 실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최신의 근거자료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영양판정의 개요
1.1. 건강, 질병 그리고 영양판정
1.2. 영양판정의 정의
1.3. 영양판정의 체계
1.4. 영양판정의 방법
1.5. 영양판정의 활용?HP 2020의 예
제2장 식이의 측정
2.1. 식이 측정의 중요성 및 고려사항
2.2. 식이 측정 조사도구
제3장 영양섭취 판정기준
3.1. 영양소 섭취기준의 개요 및 제정방법
3.2.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제4장 영양소 섭취기준의 활용
4.1. 식생활지침
4.2. 식사구성안
4.3. 영양표시제도
제5장 신체계측판정
5.1. 성장의 측정
5.2. 신체조성의 측정
제6장 생화학적 판정
6.1. 생화학적 검사시료
6.2. 생화학적 검사 유형
6.3. 영양소별 검사방법
6.4. 혈액분석검사
제7장 임상적 판정
7.1. 영양상태의 임상적 판정
7.2. 단백질-에너지 영양불량
7.3. 섭식장애
제8장 국가 수준의 영양조사
8.1.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개요
8.2.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영양판정
제9장 환자의 영양판정
9.1. 입원 환자의 영양판정 단계
9.2. 당뇨병의 영양판정
제10장 질병예방을 위한 영양판정
10.1. 개요
10.2. 심혈관계 질환
10.3. 고혈압
10.4. 골다공증
제11장 영양판정의 국제동향
11.1. 전 세계의 영양상태 동향
11.2. FAO의 영양판정
11.3. 미국의 영양판정 현황
부록 1.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부록 2. 2017년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