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아교육에서는 ‘통합교과’를 통해 교과를 운영하는 것이 보편적인데, 통합적 접근은 유아가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것들을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전인발달을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통합교과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과에 대한 개념을 알고 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과별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교재에서는 교과교육학의 성격과 시대별 변천사, 각 교과의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활동을 통한 통합적 교과 운영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주제를 바탕으로 유아의 일과 속에서 발달에 적합한 교육내용을 주제와 통합하여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제1부는 교과교육학의 이론에 초점을 두고 구성했다. 제1장에서는 교과교육의 개념과 유아교과교육의 방향을 살펴보고, 제2장에서는 교육과정의 모형과 유아교과 교육과정의 변천사와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특징을 제시했다. 제3장에서는 유아교과교육의 변천사를 알아보고, 제4~5장에서는 교수-학습 방법의 원리와 모형을 설명하고, 각 모형별 교사의 역할을 살펴본다. 제6장에서는 유아교육 구성의 방향을 제시했다. 제2부는 ‘실제편’으로 구성했다. 월간, 주간, 일일 계획안 작성방법을 제시했다. 제8~14장에서는 각 교과별 교육목표와 내용을 동작, 사회, 음악, 미술, 언어, 수학, 과학교육 순으로 제시했다. 제15장에서는 활동중심 통합교육의 방향과 실제를 다루고, 주제를 바탕으로 전개할 수 있는 실제를 다루었다.
저자소개
중앙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실행기능’과 ‘사회·정서 유능감’과 관련된 연구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있으며, 유아중심의 교수법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에서 교사와 원감으로 재직하면서 유아교육 현장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쌓아왔으며, 현장지원과 교사교육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영유아교원학회 이사를 역임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교육청 컨설팅 장학위원과 유치원 현장평가위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성결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제1부 유아교과교육의 이론적 이해
제1장 교수-학습의 기본 요소
1.1. 교과교육의 기본 개념
1.2. 유아교과교육의 방향
제2장 교수-학습의 기본 요소
2.1. 교육과정 모형의 유형
2.2. 교육과정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특징
2.3. 교육과정의 목표
제3장 유아교과교육의 변천사
3.1. 서구의 유아교과교육
3.2. 동양의 유아교과교육
3.3. 유아교육 프로그램
제4장 유아교육 교수-학습 방법
4.1. 교수-학습 원리
4.2. 교수-학습 방법
4.3. 교수-학습 방법의 주요 특징 및 교사의 역할
제5장 교수-학습 방법 및 모형
5.1. 상호작용 방법
5.2. 교수-학습 모형
제6장 유아교육 환경구성
6.1. 실내환경구성
6.2. 자유놀이 공간구성
6.3. 실외환경구성
제2부 유아교과교육의 실제
제7장 교수-학습 계획과 운영
7.1. 교육계획의 필요성 및 기본 원리
7.2. 교육계획의 운영 및 평가
제8장 유아동작교육
8.1. 유아동작교육의 목표 및 내용
8.2. 유아동작교육의 실제
제9장 유아사회교육
9.1. 유아사회교육의 목표 및 내용
9.2. 유아사회교육의 실제
제10장 유아음악교육
10.1. 유아음악교육의 목표 및 내용
10.2. 유아음악교육의 실제
제11장 유아미술교육
11.1. 유아미술교육의 목표 및 내용
11.2. 유아미술교육의 실제
제12장 유아언어교육
12.1. 유아언어교육의 목표 및 내용
12.2. 유아언어교육의 실제
제13장 유아수학교육
13.1. 유아수학교육의 목표 및 내용
13.2. 유아수학교육의 실제
제14장 유아과학교육
14.1. 유아과학교육의 목표 및 내용
14.2. 유아과학교육의 실제
제15장 활동중심 통합적 접근
15.1. 활동중심의 교과 통합
15.2. 주제에 따른 통합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