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경영의사결정론
미리보기

경영의사결정론

저자
이성철,정세윤,문상원 저
출판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출판일
2022-09-01
등록일
2022-12-22
파일포맷
PDF
파일크기
41MB
공급사
예스이십사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우리 대학에서는 ‘경영의사결정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 과목은 ‘계량경영학’ 혹은 ‘경영과학’이라 불린다. 조직의 관리적 측면에 중점을 둔 관리 이론으로부터 출발해서 체계를 갖추어 나가기 시작한 경영학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영역은 의사결정 부분이다. 결국, 조직의 운영과 관리는 최고경영자의 의사결정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경영학의 다양한 분야들 중에서 비교적 일찍부터 논의되고 연구되어 왔던 분야가 이 책에서 다루는 경영과학 영역이다. 복잡한 문제라고 하더라도 그 문제의 본질이 변화되지 않는 경우라면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형을 수립하고 이를 기준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모형의 수립과 그 모형을 해결하는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몇 가지 의사결정 모형들 외에도 수많은 의사결정 모형들이 개발되고 실무에 적용되어 왔고,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지금도 진행중에 있다. 컴퓨터가 발달하기 이전에 수학적인 모형들을 수립하고 이를 해결하는 알고리즘들을 제시해 왔던 경영과학 분야는 1980년대와 1990년대 들면서 컴퓨터를 통한 문제 해결 위주로 그 방향이 바뀌게 되었다. 굳이 복잡한 수학적 원리까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느냐라는 논리로, 복잡한 수학적 모형들을 컴퓨터를 통해 해결하고 그 결과를 문제 해결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선진국들에서 교과과정이 개편되었지만, 모형의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당면한 의사결정 문제에 어떤 모형을 적용해야 할지를 결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에 2010년대부터 유행한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다시 한번 구조적 의사결정 모형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다양한 의사결정 모형의 원리를 이해시키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다.
집필자들은 이 과목의 교육을 컴퓨터를 통한 활용 측면에서 바라볼 것인가 아니면 의사결정 모형의 원리를 충실하게 가르치는 측면에서 바라볼 것인가를 두고 논의했다. 향후 인공지능 시대에 부합되는 교육과정은 그 모형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각 의사결정 모형의 원리를 설명하고 이해시키는 방향으로 교재의 내용을 구성했다. 다만, 한 학기 동안의 짧은 교육을 통해서 현재까지 개발된 수많은 모형들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기 때문에, 아주 기본적인 모형들 위주로 구성했다.
이 책은 크게 네 영역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 영역은 이 교과목을 수강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수학적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영역은 이 교과목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선형계획 분야를 다루고 있다. 세 번째 영역은 선형계획의 특별한 성질을 기준으로 파생된 네트워크 이론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 네 번째 영역은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확률을 기반으로 하는 의사결정 모형을 다루고 있다.
첫 번째 영역에서 다루는 선형대수학은 벡터와 행렬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사실, 이 부분은 이 교과목의 본래 영역이라기보다는 수학의 영역이지만, 이 책의 두 번째 영역인 선형계획을 이해하기 위해서 사전에 알아야 할 부분이다.
두 번째 영역은 이 교과목의 가장 기초가 되는 내용이다. 최적화 모형의 본질에 대한 부분을 이해하고 선형계획으로부터 파생되어 나온 다른 모형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두 번째 영역의 초반에서는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후반부에서 다루는 파생 모형들에서는 복잡한 수학적 알고리즘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난 후에 컴퓨터를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도 함께 안내하고 있다.
세 번째 영역에서는 네트워크 이론을 다룬다. 네트워크 이론은 선형계획에서 다루었던 해결 방법을 색다른 방식으로 해결하는 과정이다. 기존의 선형계획 분야에서 적용했던 해결 방법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이 영역 역시 컴퓨터를 활용하는 방법도 함께 안내하고 있다.
네 번째 영역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의 의사결정 모형을 안내한다. 다만, 불확실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확률과 확률분포를 먼저 이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확률이론과 확률변수, 확률분포 등에 대한 안내를 먼저 제공한다.
이 책이 수학적인 내용이나 통계학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소 어렵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의사결정의 중요성과 그 결과가 초래할 수 있는 경영조직의 변화를 고려해 본다면 이 교과목을 학습하는 것은 미래의 경영자에게는 필수불가결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다소 어렵더라도 이 교과목의 학습을 완료하고 나면 훨씬 더 큰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가능한 한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하기를 권한다.

연관도서 연관도서를 소개해드립니다!
저자동일
함께 대출한 도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

QUICKSERVICE

TOP